마인크래프트 월드 수정 명령어 실전 가이드 — /setblock · /fill · /clone 활용법 & 주의사항

처음 마인크래프트에서 친구들과 함께 지형을 수정하려다 하루 종일 손으로 블록을 하나하나 놓고 있던 기억이 나요. 그때 /fill 이나 /clone 명령을 빨리 알았다면 얼마 좋았었을까요? 지금부터는 월드 수정 명령어의 기본부터 응용까지,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예제와 주의사항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께요.

Thank you for reading this post, don't forget to subscribe!
fill명령어 입력하는 모습

블록 변경의 기본 원리

블록 ID / 이름 체계

  • 마인크래프트에서는 블록마다 고유한 ID가 있고, 이름이 바뀌거나 속성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어요.
  • 예 : minecraft:stone, minecraft:oak_planks 등. 이름 앞에 minecraft: 접두사를 붙이는 게 안전해요.

블록 상태 (예 : 색, 방향 속성)

  • 일부 블록은 색이나 모양, 방향 등이 있는 상태(Block State)를 가짐.
  • 예 : 유리 색(glass 색), 목재 방향(방향 속성), 계단/반블록의 위아래 여부 등.

/setblock

기본 문법

/setblock <x><y><z><블록>[replace|destroy|keep]

블록 교체 모드 (destroy, keep, replace 등)

  • replace(기본) : 기존 블록을 덮어씀.
  • destroy : 블록을 파괴하고 아이템 드롭 처리 후 새 블록 생성.
  • keep : 빈 공간(air)일 때만 새 블록을 놓음.

예제

/setblock 100 64 200 minecraft : stone
/setblock 100 65 200 minecraft : oak_planks keep

/fill

기본 문법

/fill <x1><y1><z1><x2><y2><z2><블록>[모드 옵션]

모드 옵션(replace, hollow, outline 등)

  • replace : 전체 영역 덮음(air 포함)
  • destroy : 기존 블록 파괴 + 드롭
  • keep : 기존 블록이 air인 경우만 채움
  • hollow : 영역의 외곽만 블록, 안은 air
  • outline : 외곽만 블록, 내부는 유지

성능 고려사항

  • 영역이 너무 크면 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렉이 생길 수 있음
  • 가능한 작은 영역 단위로 쪼개서 실행하거나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는 게 좋아요.

/clone

영역 복제 기본 문법

/clone <x1><y1><z1><x2><y2><z2><목적지 x><목적지 y><목적지 z>[maskMode] [cloneMode]

복사 방향, 필터 옵션

  • maskMode : replace, masked, filtered 등 선택 가능.
  • cloneMode : normal, force, move 등이 있음.
  • 필터 옵션을 이요하면 특정 블록만 복제하거나 제외 가능.

예제

/clone 100 64 200 110 70 210 200 64 300

/clone 100 64 200 110 70 210 200 64 300 filtered minecraft : stone replace

응용 예제

성벽 만들기 자동화

  • 예 : /fill + outline 모드 사용해서 외곽만 벽돌로 쌓기

/fill 100 64 200 110 70 200 minecraft : stone_bricks outline

지형 일부 복사 + 붙여넣기

  • 장식물이나 실내 구조, 창문 태펀 등을 clone filtered 해서 원하는 위치에 빠르게 복사할 수 있어요.

예제 코드 정리

예제 1 : 단일 블록 변경
/set block 100 64 200 minecraft : stone

예제 2 : 채워 넣기 (fill)
/fill 100 64 200 110 70 210 minecraft : glass hollow

예제 3 : 복제(clone) 영역 복사
/clone 100 64 200 110 70 210 64 300

주의사항 & 팁

  • 너무 큰 영역 복제로 인한 렉 위험
    너무 많은 블록을 한 번에 조작하면 서버나 클라이언트 렉이 생길 수 있으니 작은 단위로 나눠서 실행하는 게 안전해요.
  • 롤백 / 백업 대비
    복제나 대량 블록 변경 전에는 월드 백업을 해두세요. 잘못하면 복구 불가능한 손해가 생길 수 있어요.
  • 블록 상태 / 이름 틀리지 않기
    블록 ID, 색, 방향 등 상태 정보가 틀리면 명령이 실패하거나 엉뚱한 불록이 나올 수 있어요.
  • 버전 차이 확인
    예 : 1.13 이전 버전과 1.13 이후 버전사이에 문법 차이가 있습니다. Java / Bedrock 간에도 블록 상태 지원 여부가 다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