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마인크래프트에서 커맨드 블록을 열어본 날, 오류 메시지 앞에서 허둥댔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하나씩 실습하며 명령어(Command)들이 점점 연결되는 순간을 경험했죠. 이 글 한 편이면 마인크래프트 명령어 기초 30선을 실전 예제와 함께 천천히 익혀 나갈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릴게요.

명령어 사용 전 알아야 할 것들
치트 허용 / OP 권한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먼저 세계 설정에서 “치트 허용(Cheats On)”이 켜져 있어야 하고, 멀티서버에서는 OP 권한을 받은 계정이어야 해요.
치트가 꺼저 있거나 OP 권한이 없다면 명령어 입력 시 “command not found” 또는 권한 거부 오류가 날 수 있어요.
입력 방법
- 게임 내 채팅창에 / 를 붙여서 명령 입력
- 커맨드 블록 내부에 명령 입력
- 서버 콘솔(운영자 권한으로 접속한 콘솔 화면)에서 입력 (콘솔은 / 없어도 동작 하는 경우가 있음)
Java vs Bedrock 버전 차이
명령어 문법이나 옵션이 버전마다 조금씩 달라요. 특히 /execute 나 NBT 조작 쪽은 버전 간 차이가 크니, 예제 코드를 사용할 때는 자신의 버전에 맞춰 확인해 주세요.
기초 명령어 30선 + 설명
아래는 자주 쓰이는 명령어 30가지와 간단한 설명이에요.
명령어 | 설명 |
---|---|
/gamemode <모드> | 게임 모드 변경 (생존, 크리에이티브 등) |
/time set <값> | 시간 설정 (예: day, night 또는 숫자) |
/time add <값> | 시간 더하기 (예: 1000) |
/weather <clear|rain|thunder> | 날씨 변경 |
/tp <대상> <x> <y> <z> | 텔레포트 이동 |
/gamerule <룰> <값> | 게임 규칙 설정 (예: keepInventory) |
/kill <대상> | 엔티티 제거 |
/summon <엔티티> | 몹/엔티티 소환 |
/give <대상> <아이템> <수량> | 아이템 지급 |
/clear <대상> [아이템] | 인벤토리 비우기 |
/effect <대상> <효과> <시간> [강도] | 상태 효과 적용 |
/spawnpoint <대상> [x y z] | 재생성 지점 설정 |
/setworldspawn [x y z] | 전역 스폰 지점 설정 |
/title <대상> <title|subtitle|actionbar> <텍스트> | 화면 글자 출력 |
/playsound <소리> <대상> | 사운드 재생 |
/say <메시지> | 서버 전체 메시지 |
/msg <대상> <메시지> | 귓속말 |
/whitelist <add|remove> <대상> | 화이트리스트 관리 |
/ban <대상> | 플레이어 밴 |
/pardon <대상> | 밴 해제 |
/op <대상> | 운영자 권한 부여 |
/deop <대상> | 운영자 권한 해제 |
/difficulty <값> | 난이도 설정 |
/fill <from> <to> <블록> | 블록 일괄 채우기 |
/clone <from> <to> <destination> | 영역 복제 |
/setblock <위치> <블록> | 특정 위치 블록 설정 |
/data | 엔티티/블록 NBT 조작 |
/scoreboard | 점수판 시스템 관리 |
/execute | 조건 기반 복합 명령 실행 |
/function | 함수(데이터팩) 호출 |
기초 예제 + 팁
예제 1: 낮으로 변경 + 비 제거
/time set day
/weather clear
예제 2: 플레이어에게 다이아 검 주기
/give @p diamond_sword 1
팁 & 주의 사항
- 선택자 활용
@p (가까운 플레이어), @a (모든 플레이어), @e (모든 엔티티), @r(랜덤 플레이어) 등을 잘 활용하면 명령어 범위 조절이 쉬워요. - 철자·대소문자 주의
명령어 이름이나 아이템 식별자 등은 철자가 틀리면 동작하지 않아요. 가능한 자동완성이나 탭 입력 기능을 잘 활용해 보세요. - 너무 넓은 영역 조작 주의
/fill, /clone 을 광범위하게 지정하면 서버 렉이 심해질 수 있어요. 작게 나눠서 실행하는 게 안전해요. - 버전 차이 확인하기
Java / Bedrock 버전마다 옵션 차이나 지원되는 기능이 다르니까, 자신의 버전에 맞는 명령어 문서를 같이 참고하세요.
마무리
이제 명령어의 기본 틀은 잡았어요.
다음 편에서는 좌표 & 텔레포트 쪽을 깊게 파볼 예정이고, 실습 가능한 예제도 같이 제공할께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